통합검색
게시글 (4130)
- <안내> 안녕하십니까? 아래와 같이 한국기계연구원 재료기술연구소에서 “금속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단 및 금속소재정보은행 개소식”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바쁘시더라도 꼭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라오며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아낌없는 격려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일정 및 장소는 첨부한 파일을 참조해주시고 아울러 만찬 ..
- 관리자|2006-11-14 오후 2:14:07|조회수 6218
- 중국 상무부, 세관총서, 환경총국, "가공무역금지류상품목록" 발표 2006년 11월 1일, 중국 상무부, 세관총서, 국가환보총국은 2006년 제82호 공고인 "가공무역금지류상품목록" 을 발표하였으며,2006년 11월 22일 부터 시행됨. * 출처 : 중국 상무부(www.mofcom.gov.cn)
- 관리자|2006-11-08 오후 7:58:07|조회수 7526
- 중국에 이어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한 인도·브라질·남아공(IBSA)지역에서 원자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원자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국내 산업계에 채산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IBSA지역의 구리·아연·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수요증가율은 연평균 100∼150%까지 치솟으면서 ..
- 관리자|2006-11-03 오전 8:58:12|조회수 7566
- LS니꼬동제련㈜ 창립 70주년을 맞아… ■ 1936년 장항제련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비철금속산업의 견인차 역할 ■ 구부회장 - 열정모아 고객에게 가치제공 할터 ■ 2015년 銅제련업계 Global Major Player로 성장 LS니꼬동제련(부회장 구자명)은 30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400여..
- 관리자|2006-11-07 오후 2:11:02|조회수 6946
- ㅇ 전기동 : 7,741천원/톤(-1.3%, 2006. 10월 : 7,840천원/톤)ㅇ 아연괴 : 3,978천원/톤(+12.0%, 2006. 10월 : 3,551천원/톤)
- 관리자|2006-11-01 오전 10:37:57|조회수 7365
- 2006년 10월 LME 월평균가격 입니다.(US$/톤) * 2006년 10월 평균가격 * 동 : 7499.34 연 : 1530.60 아연 : 3822.95 알루미늄 : 2653.82 니켈 : 32692.50 주석 : 9758.86 알루미늄합금 : 2202.86 * 2006년 9월 평균가격 * 동 : 7600.83 연 : 134..
- 관리자|2006-11-01 오전 10:09:46|조회수 7760
- 경남알미늄이 중동지역 최대 기업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빈라덴그룹과 손잡고 현지에 알루미늄 가공 공장을 설립한다. 김원정 경남알미늄 대표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빈라덴그룹의 서열 2위이자 이 그룹 창업자의 아홉 번째 아들인 세이크 아흐마드 빈라덴 건설담당 사장과 알루미늄 가공 공장 합작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0월30일 밝혔다. 빈라덴그..
- 관리자|2006-10-31 오전 9:05:01|조회수 7617
- 중국 11월부터 잠정관세세율 조정 중국재정부는 2006년 10월 27일, 11월부터 수입제품 58개 품목과 수출제품 110개 품목에 대한 잠정세율을 조정한다고 발표하였다. 비철금속관련 수출 잠정세율 조정내용은 아래와 같다. <광석류 : 10%> 26030000(동광) 26040000(니켈광) 26050000(코..
- 관리자|2006-10-30 오후 12:02:08|조회수 7077
- 광업진흥공사, 대우인터내셔널, 경남기업, STX 등 국내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있는 세계적 규모의 암바토비 니켈광산을 개발합니다. 암바토비 니켈광산은 매장량 1억2천5백만 톤에 이르는 세계 3대 니켈광 규모로 2010년경 개발이 완료되면 연간 최대 6만톤의 니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컨소..
- 관리자|2006-10-30 오전 10:34:19|조회수 6278
- 중국은 기록적인 무역 수지 흑자 억제 및 국내 원자재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다음 달부터 원유, 철강 및 비철금속류에 대한 수출 관세를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석유 및 코크스에 대한 수출관세를 인상했으며, 원자재인 알루미나의 수입관세를 인하하였다. 이러한 조정으로 인하여 에너지 다소비 제품의 출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 관리자|2006-10-30 오전 10:28:43|조회수 7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