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글 (4130)
- 충북 옥천군에 대규모 알루미늄 전문화 단지가 들어선다. 충북도는 11월22일 오전 도청 소회의실에서 동양강철 자회사인 현대알루미늄과 옥천군 청산면 효목리 일대에 257만 m² 규모의 알루미늄 공단을 조성키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현대알루미늄은 국내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이 분야 소재 1위 생산업체로, 2008년부터 ..
- 관리자|2006-11-23 오전 9:07:22|조회수 7244
- 창원시는 11월의 최고경영인에 기성하이스트 김부용 대표, 최고근로인에 동방곤포 이홍섭 기장을 각각 선정하고 11월22일 오전 수상자 업체를 방문해 상패를 수여했다. 박완수 시장은 이날 오전 9시30분 관계공무원과 함께 팔용동 기성하이스트를 방문해 이 회사 김부용 대표에게 최고경영인상을, 10시30분 동방곤포를 방문해 이홍섭 기장에게 최고근로인상을 수여한..
- 관리자|2006-11-22 오후 5:00:41|조회수 5839
- 이구택 포스코 회장의 ‘스테인리스 세계 1위’ 꿈이 영글고 있다. 22일 중국 내 스테인리스 일관제철소 준공으로 일단 세계 3위까지는 올랐다. 중국 태원강철과의 지분인수 협상만 잘 마무리되면 단번에 세계 1위를 달성하게 된다. 스테인리스는 니켈ㆍ크롬 등을 첨가해 녹이 슬지 않는 고급강재로, 일반 철강제품에 비해 가격이 4배 이상 비싸다. 포스코는 이..
- 관리자|2006-11-22 오전 9:54:52|조회수 6540
- 마그네슘 소재공학의 발전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기업이 바로 엠팩트(주)(대표 정수종 www.mfact.co.kr)다. 국내 마그네슘 소재공학 발전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마그네슘 합금은 무게가 철강소재의 1/5, 알루미늄 소재의 2/3에 불과한 대표적인 경량소재로,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훨씬 우수한 친환경소재다. 노트북과 캠코..
- 관리자|2006-11-22 오전 9:50:24|조회수 6086
- 러시아의 철강 대기업인 에브라즈와 비철금속 대기업인 Norilisk Nickel이 20일, 잇따라 미국 기업을 매수한다고 발표했다. 일본경제신문에 따르면 이들 회사는 자원가격 상승에 따른 자금을 통해 미국 기업들을 매수, 국제시장 개척의 발판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특히 자원을 무기로 해외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푸틴정권의 전략을 배경으로 소재분..
- 관리자|2006-11-21 오후 5:56:27|조회수 6619
- - 프리포트-맥모란, 펠프스 닷지 259억불에 인수 합의북미지역 최대의 구리생산업체가 탄생할 전망이다. 프리포트-맥모란 쿠퍼앤골드가 경쟁 구리생산업체인 펠프스 닷지를 259억달러에 인수하가로 합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월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리포트는 펠프스의 주식을 주당 126.46달러에 인수할 계획으로 이는 지난 17일 펠프스의 ..
- 관리자|2006-11-20 오후 1:17:17|조회수 7095
- 최근 경제 동향과 산업 정책방향 2006. 11. 16(목) 우리 협회가 개최한 "2006년도 알루미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미나"에서 산업자원부 철강석유화학팀 난창현 팀장님이 발표한 자료입니다.
- 관리자|2006-11-17 오후 5:43:31|조회수 5959
- 우리나라 소재공학의 발전사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두 곳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이다. KIST와 RIST는 설립 주체는 정부와 포스코 등으로 각기 다르지만 국내 소재공학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KIST는 1966년 설립된 이후 국내 소재 기술 개발사에 굵은 족적을 남겼다. 은..
- 관리자|2006-11-17 오전 11:09:28|조회수 8514
- 협회업무 휴무 안내(2006. 11/16) 우리 협회는 "2006년도 알루미늄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미나" 개최관계로 업무를 휴무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리자|2006-11-15 오후 7:13:28|조회수 5989
- LG상사와 대한광업진흥공사가 올해 안에 필리핀 라푸라푸 동광 개발을 시작합니다. 산업자원부와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는 11월13일부터 이틀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제1차 한-필리핀 자원협력위원회를 열고 최근 환경문제로 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라푸라푸 동광산 개발에 대해 필리핀 정부가 조만간 최종생산허가를 승인하기로 합의했습니다. LG상사와 대한광업진흥공..
- 관리자|2006-11-15 오전 9:58:40|조회수 7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