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글 (4130)
- ◇ 참석 내빈들이 개막을 알리는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철강 및 비철 관련, 각 종 세미나 등 부대행사도 풍성 한국철강협회와 한국비철금속협회가 공동 주최한 2010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산업전이 9월30일 오전 11시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막했다. 철강·비철금속 소재 및 제품, 설비, 신기술 등을 한자리에 모아놓은 이번 전시회는..
- 관리자|2010-09-30 오후 2:58:22|조회수 5874
- 중국이 희토류를 자원 무기화하고 있지만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9월2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미국, 호주의 희토류 생산이 가시화되면서 2012년께는 중국의 시장 지배력도 약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현재 희토류 전체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일본석유가스금속공사(JOGMEC)는 베트남의 희토류 광구 개발권..
- 관리자|2010-09-27 오후 6:46:37|조회수 6358
- 우리협회가 수행한"산업용 원자재 중장기 수급 안정화 방안 연구"(희소금속을 중심으로)용역보고서 자료입니다.
- 관리자|2010-09-24 오후 3:45:42|조회수 8921
- 비철금속산업 기후변화대응 및 EMS 세미나 2010. 9. 24 한국비철금속협회 Ⅰ. 일 시 : 2010. 10. 1(금) 14:00 - 17:00 Ⅱ. 장 소 : KINTEX(경기도 일산) 207호 Ⅲ. 참가비 : 무료 Ⅳ. 제목 및 연사 시 간 제 목 연 사 비..
- 관리자|2010-09-24 오전 11:42:58|조회수 5342
- 삼성물산ㆍLG상사 등 몰리브덴ㆍ리튬ㆍ니켈 확보나서 종합상사들의 주력사업 방향이 희귀금속자원 선점을 향하고 있다. 과거 종합상사의 자원개발이 화석연료의 트레이딩에서 발전한 석유ㆍ가스자원 생산지분에 참여하는 것이었다면 현재는 가치 있는 자원의 선제적 확보에 방점이 찍히는 모습이다. 선제적 자원개발에 앞장서는 곳은 LG상사다.LG상사는 최근 광물자원..
- 관리자|2010-09-24 오전 9:17:25|조회수 7575
- 日 산업계 타격 예상…도요타 리베이트도 조사 일본과 댜오위다오(釣魚島 · 일본명 센카쿠열도) 영유권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이 일본에 대한 희토류 금속 수출을 전면 금지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9월23일 보도했다. 교도통신도 이날 "중국 내 통관 절차가 지난 21일부터 여러 이유로 지체되고 있어 사실상 희토류를 일본으로 반입할 수 없는..
- 관리자|2010-09-24 오전 9:06:48|조회수 5687
- 대기업 공장신설 잇따라…내년 2조원 규모 성장예상 알루미늄창호의 전성시대가 오는 것일까. 알루미늄창호란 프레임(Frameㆍ창틀)의 원재료로 PVC(폴리염화비닐)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제품. 고층건물에서 단열성은 물론,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창호 관련 대기업들이 잇따라 공장신설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최근 알루미늄 산업단지 조..
- 관리자|2010-09-24 오전 8:52:39|조회수 5919
- 한국과 유럽연합(EU)이 가서명한 자유무역협정(FTA) 승인을 거부하던 이탈리아가 '지지'로 돌아섰다. EU 이사회가 한 · EU FTA를 승인하고 정식 서명이 이뤄지면 FTA 협정은 당초 일정보다 6개월 늦은 내년 7월1일 발효될 전망이다. EU 정상회의에 앞서 열린 특별외교이사회는 9월16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한 · EU FTA를 승인하기로 ..
- 관리자|2010-09-16 오후 7:02:58|조회수 5357
- 2034년까지 구리ㆍ몰리브덴 생산, 국내 수요량의 3.2% 조달3년 연속 구리 광구 인수, 자주개발률 5.1%에서 2016년 20%로 상승 한국광물자원공사와 LG상사가 세계에서 15번째로 큰 미국의 초대형 구리광산 지분 20%를 2,000억원에 인수했다. 이에 따라 한국컨소시엄은 오는 2034년까지 국내 전체 수요의 3.2% 정도인 3만4,000톤가량..
- 관리자|2010-09-16 오후 4:14:36|조회수 5313
-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 아이템으로 전기자동차가 떠오르면서 2차전지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배터리 소재는 니켈수소와 리튬으로 양분할 수 있는데 점차 리튬전지가 대세로 굳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리튬 2차전지가 갖고 있는 물질 특성의 한계와 높은 가격 등으로 세계적으로 대체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노력의 대표적인 산..
- 관리자|2010-09-16 오전 9:20:34|조회수 5126